맨위로가기

로마의 소나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마의 소나무는 이탈리아 작곡가 오토리노 레스피기가 작곡한 관현악 모음곡으로, 로마의 소나무를 주제로 한 4개의 악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악장은 빌라 보르게세, 카타콤바, 자니콜로, 아피아 가도 등 로마의 특정 장소에 있는 소나무와 그 주변의 분위기를 묘사하며, 낮에서 밤, 그리고 새벽으로 이어지는 시간의 흐름을 표현한다. 1924년 초연 이후 레스피기의 가장 유명한 작품 중 하나가 되었으며, 다양한 지휘자와 오케스트라에 의해 수많은 녹음이 이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향시 - 파리의 미국인
    조지 거슈윈이 1928년에 작곡한 랩소디적 발레곡 《파리의 미국인》은 1920년대 파리의 활기찬 분위기를 담아 미국인 관광객의 시각으로 프랑스의 다양한 인상들을 음악적으로 표현하고, 프랑스풍 선율과 미국의 블루스를 결합한 독특한 스타일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 교향시 - 나의 조국 (스메타나)
    베드르지흐 스메타나가 1872년부터 1879년 사이에 작곡한 6개의 교향시 연작 '나의 조국'은 체코의 역사, 전설, 풍경을 묘사하며, 특히 2번 교향시 '몰다우'는 그의 대표작이자 체코를 상징하는 곡으로 체코 음악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프라하의 봄 음악제의 개막곡으로 연주된다.
  • 관현악곡 - 파리의 미국인
    조지 거슈윈이 1928년에 작곡한 랩소디적 발레곡 《파리의 미국인》은 1920년대 파리의 활기찬 분위기를 담아 미국인 관광객의 시각으로 프랑스의 다양한 인상들을 음악적으로 표현하고, 프랑스풍 선율과 미국의 블루스를 결합한 독특한 스타일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 관현악곡 - 1812년 서곡
    1812년 서곡은 차이콥스키가 나폴레옹의 러시아 침공 승리를 기념하여 작곡한 관현악 서곡으로, 러시아 민요와 프랑스 국가를 인용하고 종소리와 대포 소리를 사용하여 웅장한 스케일과 극적인 분위기를 자아내며,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논란이 되기도 했다.
로마의 소나무
작품 정보
제목로마의 소나무
원어 제목I Pini di Roma
종류교향시
작곡가오토리노 레스피기
작품 번호P 141
작곡 연도1924년
연주 시간약 21분
악장4개
초연 날짜1924년 12월 14일
초연 장소로마, 이탈리아
초연 지휘자베르나르디노 몰리나리
초연 연주 단체아우구스테오 관현악단
악장 구성
1악장볼게세 별장의 소나무 (I pini di Villa Borghese)
2악장카타콤베 근처의 소나무 (I pini presso una catacomba)
3악장자니콜로 언덕의 소나무 (I pini del Gianicolo)
4악장아피아 가도의 소나무 (I pini della Via Appia)

2. 구성

총 4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악장은 특정 장소의 소나무와 그에 얽힌 분위기를 묘사하고, 각 악장은 끊임없이 이어서 연주된다. 레스피기는 각 악장의 배경이 되는 장소와 분위기를 프로그램 노트에 상세히 기록하여 곡의 이해를 돕고 있다.[1]

레스피기는 이 곡을 작곡하면서 "기억과 환상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출발점으로 자연을 이용했다"라고 말하며, "로마의 풍경을 지배하고 있는 수 세기에 걸친 나무들은 로마의 생활에서 주요 사건의 증인이 되고 있다"라고 덧붙였다.[2] 즉, 그는 소나무를 통해 고대 로마를 바라보고 과거의 환영을 표현하려 한 것이다. 이러한 의도는 교회 선법의 사용과 옛 시대에 대한 향수, 과거에 대한 환상을 효과적으로 표현한 데서 잘 드러난다.

이 곡의 소재가 된 소나무는 이탈리아카사마츠로, 이탈리아지중해 연안에서 자생하는 종이다.

각 악장의 제목과 내용은 다음과 같다.

악장제목빠르기설명
1I pini di Villa Borgheseit (보르게세 별장의 소나무)알레그레토 비바체보르게세 공원의 소나무 가로수에서 뛰어노는 아이들의 모습을 간략하게 묘사한다.
2Pini presso una catacombait (카타콤바 근처의 소나무)렌토로마 카타콤베 입구 위로 드리워진 소나무의 그림자와 엄숙한 분위기를 간략하게 표현한다.
3I pini del Gianicoloit (자니콜로의 소나무)렌토자니콜로 언덕 위 소나무에 비치는 보름달의 야상적인 풍경을 간략하게 담고 있다.
4I pini della via Appiait (아피아 가도의 소나무)행진곡 템포아피아 가도를 따라 개선하는 로마 군단의 행진과 과거 로마 제국의 영광을 간략하게 묘사한다.


2. 1. 제1부: 보르게세 별장의 소나무 (I pini di Villa Borghese)

빌라 보르게세 정원의 소나무 아래에서 아이들이 "장미꽃 둥글게"와 같은 이탈리아 동요를 부르며 춤을 추고, 병정 놀이와 전투를 흉내 내며 제비처럼 지저귀고 소리치는 모습을 묘사한다.[1] 보르게세 가문은 17세기 초 도시를 지배했던 가문으로, 정원 안에 위치한 빌라 보르게세는 이 가문의 기념물이다. 엘사 레스피기는 1920년 말 남편 레스피기가 어릴 적 정원에서 놀면서 불렀던 노래의 멜로디를 그에게 불러달라고 부탁했고, 레스피기는 그 멜로디를 받아 적어 첫 번째 악장에 포함시켰다고 회상했다.[2]

빌라 보르게세 정원의 소나무


보르게세 공원의 소나무 가로수


I pini di Villa Borgheseit (보르게세 별장의 소나무)는 알레그레토 비바체 → 비바체 (8분의 2박자)로 연주된다. "보르게세 별장의 소나무 숲에서 아이들이 뛰어놀고 있다. 그들은 둥글게 춤을 추고, 병정놀이를 하며 행진하거나 전쟁놀이를 한다. 저녁놀의 제비처럼 자신들의 외침에 흥분하며 무리를 지어 오가고 있다. 갑자기 정경이 바뀌고, 제2부에 곡이 들어간다."라는 설명처럼, 보르게세 공원의 소나무 가로수에서 노는 아이들의 정경을 호른의 웅장한 울림과 활기차고 화려한 오케스트레이션으로 묘사한 빠른 선율이다. '보르지아 별장의 소나무'라고 표기하는 경우가 있지만 보르게세 가문과 보르지아 가문은 별개의 가문이므로, 잘못된 표기이다.

2. 2. 제2부: 카타콤바 근처의 소나무 (Pini presso una catacomba)

아이들은 갑자기 사라지고, 로마 카타콤베 입구 위로 드리워진 소나무 그림자가 나타난다.[1] 이는 황량한 캄파냐에 있는 외로운 예배당의 그림을 떠올리게 하는 웅장한 장송곡이다. 하늘을 배경으로 몇 그루의 소나무가 실루엣으로 드러나는 탁 트인 땅이다. 찬송가(특히 자율적인 자비송 1번, ''Clemens Rector''; 그리고 미사 IX, ''Cum jubilo''의 상투스)가 들려온다. 소리는 다시 솟아올랐다가 카타콤베, 즉 죽은 자들이 갇힌 동굴 속으로 사라진다. 무대 밖의 트럼펫이 상투스 찬송가를 연주한다. 낮은 관현악기, 그리고 약 4.88m 및 약 9.75m 음정의 오르간 페달은 카타콤베의 지하적인 특성을 암시하는 반면, 트롬본과 호른은 성직자들이 찬송가를 부르는 모습을 나타낸다.

2. 3. 제3부: 자니콜로의 소나무 (I pini del Gianicolo)

자니콜로 언덕을 배경으로, 그 위에 자라는 소나무에 비치는 보름달을 묘사하는 야상곡이다. 레스피기는 처음에 클라리넷 독주를 come in sogno|꿈결처럼it 연주하라고 지시했다.[2]

이 악장은 레스피기가 곡의 마지막 부분에서 축음기나이팅게일 소리를 틀도록 요청한 것으로 유명하며, 이는 당시로서는 혁신적인 시도로 음악에서 이러한 시도는 처음이었다. 레스피기는 원래 악보에서 특정 음반, 즉 1911년에서 1913년 사이에 그라모폰 레코드 레이블에서 유럽 전역에 발매한 디스크 No. R. 6105의 이탈리아판인 Il canto dell'Usignolo|나이팅게일의 노래, No. 2it를 재생하도록 지시했다. 이 음반은 1910년 독일에서 처음 발매되었으며, Karl Reich와 Franz Hampe가 녹음했다. 이것은 살아있는 새의 최초의 상업적 녹음이다. 레스피기는 또한 이 음반을 브런스윅 파나트로프 레코드 플레이어에서 재생하도록 지시했다. 레스피기가 직접 나이팅게일을 녹음했다거나, 자니콜로 언덕에 위치한 로마 미국 아카데미의 맥킴 빌딩의 안뜰에서 나이팅게일을 녹음했다는 잘못된 주장도 있다.

세 번째 악장의 끝부분은 레스피기가 악보에 포함시킨 이 녹음된 나이팅게일의 노래를 특징으로 한다.

2. 4. 제4부: 아피아 가도의 소나무 (I pini della via Appia)

레스피기는 로마로 들어가는 주요 군사 도로에서 새벽의 모습을 묘사하며 로마 제국의 과거 영광을 떠올린다. 마지막 악장은 안개가 자욱한 새벽, 새로 떠오르는 태양의 찬란함 속에서 개선 행진하는 로마 군단아피아 가도(라틴어이탈리아어: Via Appia)를 따라 묘사하는 소나무를 묘사한다. 레스피기는 자신의 군대의 발걸음 아래 땅이 흔들리기를 원했고, 오르간에게 8', 16', 32' 오르간 페달에서 낮은 B을 연주하도록 지시했다. 악보에는 여섯 개의 부치나가 필요하다. 이는 고대 원형 트럼펫으로, 보통 현대의 플루겔호른으로 표현되며 때로는 무대 밖에서 연주되기도 한다. 트럼펫이 울리고 집정관 군대가 로마 개선의 모습으로 카피톨리노 언덕으로 진군한다. 최종 리허설 하루 전, 레스피기는 엘사에게 "I Pini della Via Appia"의 크레센도가 그의 뱃속에 "'무언지 알 수 없는 것'"을 느끼게 했으며, 그가 상상했던 작품이 자신이 원하는 대로 나온 것은 처음이라고 밝혔다.[2]

아피아 가도의 소나무

3. 악기 편성

《로마의 소나무》는 대규모 관현악 편성을 사용한다. 악기 편성은 다음과 같다.

구분악기
목관악기플루트 3 (3번 주자는 피콜로 겸함), 오보에 2, 잉글리시 호른, 클라리넷 2, 베이스 클라리넷, 바순 2, 콘트라바순
금관 악기호른 4, 트럼펫 3, 트롬본 3 (테너 2, 베이스 1), 튜바, 부치나 6 (소프라노 2, 테너 2, 베이스 2; 플루겔호른 또는 색스혼으로 연주)
타악기팀파니, 큰북, 작은북, 트라이앵글, 심벌즈, 작은 심벌즈 2, 래칫, 탬버린, 탐탐, 글로켄슈필
현악기현악 5부, 하프
건반 악기오르간, 첼레스타, 피아노
기타축음기, 물피리
무대 뒤, 별도트럼펫 2, 트롬본 2, 호른 2, 유포니움 2



4번 트롬본은 음역이 극단적으로 낮기 때문에 주로 튜바 또는 침바소로 대체하기도 한다.[16]

3. 1. 목관 악기

3. 2. 금관 악기

호른 4개(F와 E), B♭ 트럼펫 3개, C 무대 뒤 트럼펫 1개, 테너 트롬본 2개, 베이스 트롬본, 튜바, 부치나 6개(B♭, 소프라노 2개, 테너 2개, 베이스 2개, 일반적으로 플루겔호른과 색소폰으로 연주)가 사용된다. 부치나[16]는 고대 로마 병사가 사용한 금관 악기의 일종으로, 트럼펫과 트롬본의 조상으로 여겨진다. 레스피기가 부치나로 지정한 프리고르노는 이탈리아의 원뿔관 계열 금관 악기로, 소프라노, 테너, 베이스는 각각 현재의 플루겔호른, 바리톤, 유포니움에 해당한다.

부치나로 지정된 프리고르노 바소(왼쪽)와 테노레(오른쪽)

3. 3. 타악기

팀파니, 큰북, 작은북, 트라이앵글, 심벌즈, 작은 심벌즈 2개, 래칫, 탬버린, 탐탐, 글로켄슈필[16]

3. 4. 현악기

현악 5부, 하프[16]

3. 5. 건반 악기

오르간, 첼레스타, 피아노

3. 6. 기타


  • Buccina영어 - 내림 나조의 소프라노, 테너, 베이스의 프리고르노(색소폰) 각 2 (제4부에 사용): 부치나[16]는 고대 로마 병사가 사용한 금관 악기의 일종으로 트럼펫, 트롬본의 조상으로 여겨진다. 레스피기가 부치나로 지정한 프리고르노는 이탈리아의 원뿔관 계열 금관 악기로, 소프라노, 테너, 베이스는 각각 현재의 플루겔호른, 바리톤, 유포니움에 해당한다.
  • 밤에 우는 나이팅게일의 울음소리 녹음 (제3부에 사용): 리코르디사에서 테이프가 발매되고 있으며, 보통 이 출판사의 파트보 임대 악보에 부속되어 있다. 물피리 등으로 대체하는 경우도 있다.

4. 역사적 배경 및 해석

레스피기는 1924년 여름에 ''로마의 소나무''를 완성했다.[2] 그는 1913년 고향 볼로냐에서 로마로 이주했는데, 로마의 "놀라운 분수"와 "지평선 모든 곳에 나타나는 우산 모양의 소나무"가 그의 상상력을 자극했다고 말했다.[2] 이러한 영향으로 그는 로마를 주제로 한 세 개의 교향시 중 첫 번째인 ''로마의 분수''(1916)를 작곡하여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이 곡은 여러 면에서 순환적인 성격을 띤다. 빌라 보르게세 정원, 자니콜로 언덕, 아피아 가도는 로마 주변을 시계 반대 방향으로 순회하는 지점이며, 네 악장은 낮에서 밤, 새벽으로 이어진다.[1] 각 악장의 배경은 현대 도시에서 노는 아이들에서 초기 기독교 시대의 카타콤바, 로마 공화국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또한 아이들이 노는 모습으로 시작해 제복을 입은 어른들로 끝나는 시간의 흐름을 보여준다. 자니콜로 언덕은 시작, 끝, 변화의 신 야누스에게 바쳐졌으며, 야누스는 앞뒤를 바라보는 두 얼굴을 가지고 있다.[1]

1926년 1월 15일, 레스피기는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를 직접 지휘하며 이 곡을 연주하면서 프로그램에 다음과 같이 적었다.

즉, 그는 소나무를 통해 고대 로마를 바라보고 옛 환영에 다가가려 했다. 그래서 이 곡에는 교회 선법이 사용되었으며, 옛 시대에 대한 향수와 과거의 환상이 잘 나타나 있다.

이 작품의 소재인 이탈리아카사마츠는 이탈리아 등 지중해 연안에서 자생하는 소나무이다.

4. 1. 고대 로마와의 연관성

레스피기는 로마로 들어가는 주요 군사 도로에서 새벽의 모습을 묘사하며 로마 제국의 과거 영광을 떠올렸다. 마지막 악장은 안개가 자욱한 새벽, 새로 떠오르는 태양의 찬란함 속에서 개선 행진하는 로마 군단아피아 가도(라틴어이탈리아어: Via Appia)를 따라 묘사하는 소나무를 묘사한다.[2] 레스피기는 군대의 발걸음 아래 땅이 흔들리기를 원했고, 오르간에게 8', 16', 32' 오르간 페달에서 낮은 B을 연주하도록 지시했다. 악보에는 여섯 개의 부치나가 필요하다. 이는 고대 원형 트럼펫으로, 보통 현대의 플루겔호른으로 표현되며 때로는 무대 밖에서 연주되기도 한다. 트럼펫이 울리고 집정관 군대가 로마 개선의 모습으로 카피톨리노 언덕으로 진군한다.[2]

레스피기는 1926년 1월 15일 스스로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를 지휘하여 이 곡을 연주하면서 프로그램에 다음과 같이 적었다.

즉, 그는 이 곡에서 단순히 소나무를 그리려 한 것이 아니라, 소나무라는 자연을 통해 고대 로마를 바라보고 로마의 옛 환영에 다가가려 했다. 그러므로 이 곡에는 교회 선법이 즐겨 사용되었으며, 옛 시대에 대한 향수와 과거에 대한 환상이 효과적으로 살아 있다.

아피아 가도의 소나무it는 행진곡으로, "아피아 가도의 자욱한 새벽 안개. 기묘한 풍경을 지켜보는 멀리 떨어진 소나무. 끝없는 발걸음 소리의 조용한 쉼 없는 리듬. 시인은 과거의 영광의 환상적인 모습을 떠올린다. 트럼펫이 울리고, 새롭게 떠오르는 태양의 울림 속에서 집정관의 군대가 사쿠라 가도를 전진하여, 카피톨리노 언덕으로 개선하며 올라간다."라는 설명이 붙어 있다. 고대 로마의 진군 도로로 사용된 아피아 가도의 돌길은 지금도 남아 있다. 피아니시모에서 "군대의 행진"에 따라 점차 음량이 커져 포르티시모에 이른다. 무대 위의 관현악에 더하여, 반다의 팡파르가 더해져 웅장하게 전곡을 닫는다. 무대 뒤의 금관 악기는 종종 객석 옆이나 뒤, 2층 등에 배치되어 입체적인 음향을 울려 퍼지게 할 때가 있다.

4. 2. 음악적 특징

레스피기는 특유의 오케스트레이션을 사용하여 각 부분에서 다른 소나무와 장소, 시간을 묘사하고 있다.[1] 그는 1926년 1월 15일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를 지휘하면서 프로그램에 다음과 같이 적었다.[1]

즉, 그는 이 곡에서 단순히 소나무를 묘사하려 한 것이 아니라, 소나무라는 자연을 통해 고대 로마를 바라보고 로마의 옛 환영에 다가가려 했다. 그래서 이 곡에는 교회 선법이 즐겨 사용되었으며, 옛 시대에 대한 향수와 과거에 대한 환상이 효과적으로 표현되어 있다.[1]

본 작품에서 소재가 되고 있는 소나무는 이탈리아 등 지중해 연안을 중심으로 자생하는 이탈리아카사마츠이다.[1]

세 번째 악장은 야상곡으로, 자니콜로 언덕을 배경으로 하며, 그 위에 자라는 소나무에 비치는 보름달을 묘사한다. 레스피기는 처음에 클라리넷 독주를 come in sogno|꿈결처럼it으로 연주하라고 지시했다.[2]

이 악장은 레스피기가 곡의 마지막 부분에서 축음기로 나이팅게일 소리를 틀도록 요청한 것으로 유명하며, 이는 당시로서는 혁신적인 시도로 음악에서 이러한 시도는 처음이었다. 레스피기는 원래 악보에서 1910년 독일에서 처음 발매된 Karl Reich와 Franz Hampe가 녹음한 살아있는 새의 최초의 상업적 녹음본인 특정 음반[1], 즉, 1911년에서 1913년 사이에 그라모폰 레코드 레이블에서 유럽 전역에 발매한 디스크 No. R. 6105의 이탈리아판인 Il canto dell'Usignolo|나이팅게일의 노래, No. 2it을 재생하도록 지시했다.[1] 레스피기는 또한 이 음반을 브런스윅 파나트로프 레코드 플레이어에서 재생하도록 지시했다. 레스피기가 직접 나이팅게일을 녹음했다거나, 자니콜로 언덕에 위치한 로마 미국 아카데미의 맥킴 빌딩의 안뜰에서 나이팅게일을 녹음했다는 잘못된 주장도 있다.[1]

5. 한국적 관점 및 수용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가 제공되면 해당 내용을 바탕으로 위키텍스트를 작성하고, 그 결과를 다시 제시하여 수정 작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6. 공연 및 녹음

《로마의 소나무》는 1924년 12월 14일, 초대 로마 황제 아우구스투스의 묘소 위에 지어진 로마의 극장인 테아트로 아우구스테오에서 초연되었다.[2] 베르나르디노 몰리나리가 오케스트라 델 아우구스테오를 지휘하여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3] 엘사는 곡의 마지막 마디가 청중의 "열광적인 박수 소리에 묻혔다"고 회상했으며, 12월 28일에 매진된 공연장에서 두 번째 공연이 열렸다.[2] 미국 초연은 1926년 1월 14일에 아르투로 토스카니니뉴욕 필하모닉의 지휘자로 첫 콘서트를 열면서 이루어졌다. 토스카니니는 1945년 오케스트라와의 마지막 공연에서도 이 곡을 지휘했다. 1925년 12월에 콘서트 투어를 시작하기 위해 미국에 도착한 레스피기는 토스카니니의 미국 초연 다음 날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를 지휘하여 이 곡을 연주했다.[4][5]

《로마의 소나무》는 레스피기의 모든 작품 중에서 가장 많이 녹음되었으며, 종종 로마에서 영감을 받은 그의 3부작 작품의 일부로 발매된다. 2018년 현재, 이 곡의 녹음은 100개 이상이 음반으로 발매되었다.[6]

로렌초 몰라졸리와 에토레 파니차는 모두 밀라노 교향악단과 함께 녹음을 진행했으며, 몰라졸리의 녹음은 컬럼비아 레코드에서, 파니차의 녹음은 오데온과 데카 레코드에서 발매되었다. 1935년, 피에로 코폴라와 파리 음악원 관현악단은 EMI를 위해 이 음악을 녹음했으며, 영국에서는 His Master's Voice에서, 미국에서는 RCA 빅터에서 78회전 디스크로 발매했다.[7] 토스카니니는 1953년 카네기 홀에서 NBC 교향악단과 함께 이 음악을 녹음했다. 프리츠 라이너시카고 교향악단은 1959–60년 오케스트라 홀에서 스테레오 사운드로 이 음악을 녹음했으며, 클로드 드뷔시의 《바다》와 함께 RCA에서 발매되었다.[8][9]

참조

[1] 웹사이트 Program Notes - Respighi: Pines of Rome https://www.sfsympho[...] San Francisco Symphony 2022-11-10
[2] 웹사이트 The March of Time: Respighi's Pines of Rome https://houstonsymph[...] Houston Symphony 2022-04-19
[3] 웹사이트 What's On / Programme Notes - Pines of Rome (1923–4) http://www.bbc.co.uk[...] BBC Proms 2009 2012-11-25
[4] 문서 Frank, p. 75
[5] 문서 Borowski and Upton, p. 391
[6] Presto Classical Presto Classical https://www.prestocl[...]
[7] 웹사이트 0x61.com http://www.0x61.com/[...] 2015-06-02
[8] Presto Classical Respighi: Pines of Rome & Fountains of Rome and Debussy: La mer https://www.prestomu[...]
[9] AllMusic Respighi: Pines of Rome; Fountains of Rome; Debussy: La Mer - Fritz Reiner https://www.allmusic[...]
[10] Artfourm International SHINE A LIGHT: THE ART OF BRUCE CONNER https://www.artforum[...]
[11] The New York Review of Books The Creepy World of Bruce Conner-by J. Hoberman-NYR Daily https://www.nybooks.[...]
[12] 웹사이트 Clase maxistral de Morgan Fisher https://s8cinema.com[...]
[13] Youtube City Of Love by Yes on official YouTube channel https://www.youtube.[...]
[14] San Diego Symphony Places in Time: The Pines of Rome https://www.sandiego[...]
[15] D23 Fantasia/2000 (film) - D23 https://d23.com/a-to[...]
[16] 문서 lang-la|buccina(ブッキナ/「ブ」にアクセント)もしくはlang-la|bucina(ブーキナ)、lang-it|buccina(ブッチナ/「ブ」にアクセント)。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